▲ 스텐포드 대학의 ImageNet 홈페이지
-
시각지능 기술동향 - 기술개발 사례 중심.pdf (출처: www.iitp.kr,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)
- 주요 내용 요약
-
- 시각지능의 정의: 대규모 이미지 데이터르 학습하여 다양한 종류의 사물을 인식하고 이해하기는 기술로, 사람을 대신하여 사물을 인식하고 학습하여 다양한 영상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의미 정보를 분석해 내는 플랫폼
- 스텐포드 대학의 ImageNet은 연구용 데이터베이스로 google이나 microsoft에서도 활용하고 있는 자료임. google은 이 DB를 이용하여 객체 검출 모델의 앙상블 조합으로 좋은 결과를 발표하였고, deep neural networks 기술이 주요 이슈로 등장
- google은 브레인 X 프로젝트 일환으로 사람처럼 사물을 구분하고 인식, 학습할 수 있는 기술을 수 년간 연구 진행 중이며, 방법론으로는 Deep neural networks를 사용하고 있음. 토론토 대학의 Geofrrey Hinton 교수를 영입하여 2013년부터 본격적인 연구에 착수
- 이 밖에 IBM, 버지니아텍 연구 사례가 간단히 소개되어 있으며, 분서 말미의 참고문헌 링크가 매우 쓸만함
- 참고문헌
-
[1] Stanford, ImageNet, http://www.image-net.org/
[2] MIT, SUN database, http://groups.csail.mit.edu/vision/SUN/
[3] Databrary, [Online] http://databrary.org/
[4] DARPA, “BAA-08-20: Video and Image Retrieval and Analysis Tool (VIRAT),” March 03, 2008.
[5] DARPA Mind’s Eye, http://www.darpa.mil/Our_Work/I2O/Programs/Minds_Eye.aspx
[6] IBM Multimedia Analysis and Retrieval System, http://mp7.watson.ibm.com/imars/.
[7] Microsoft, Web Image Search and Exploration (WISE), http://research.microsoft.com/en-us/projects/WISE/. [8] A Krizhevsky, “ImageNet Classification with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”, NIPS 2012.
[9] Microsoft ADAM, http://www.theregister.co.uk/2013/11/15/google_thinking_machines/
[10] U. of Virginia, “HIPI : Hadoop Image Processing Interface”, http://hipi.cs.virginia.edu/
[11] IBM Research-Columbia Univ. “Semantic Indexing Task”, 2012.
'기술동향 > 로봇&비전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S의 홀로렌즈와 래즈베리 파이2를 결합한 가상 로봇 (0) | 2015.05.22 |
---|---|
ICT 융합기술기반의 지능형 로봇의 기술동향 (0) | 2015.04.27 |
시각지능 기술동향 - 기술개발 사례 중심 (0) | 2015.04.23 |
가상현실과 증강현실 시장, 2020 년 1,500 억 달러 규모 (0) | 2015.04.17 |
가상현실을 목표로 내건 기술기업들, 가상현실이 곧 현실 (0) | 2015.04.16 |
지능형 CCTV 솔루션 성능 시험 및 인증 기술 (0) | 2015.04.16 |